본문 바로가기

지식공유/의학&질병&약품

에볼라 바이러스

에볼라는 치사율이 매우 높아서 전염이 잘 안됨.

왜냐하면 전염되기 전에 죽음에 이르게됨.

현재 에볼라 문제가 예전보다 심각한 이유

1.현재 에볼라 감염지역의 인구밀도가 높다.

여태까지 에볼라가 많은 사상자를 내고 사라진 이유가 퍼지기 전에 다 죽었는데 아프리카의 넓은면적, 미비한 이동수단 때문에 한지역에 국한되었음.


 


지금 에볼라가 인구밀도 높은 지역으로 옮겨간 이후 에볼라 사상자가 멈추지 않고 있는 이유도 감염된 지역이 인구밀도가 높고 교통네트워크가 잘 구축되어 있기 때문임.

유럽, 북미, 특히 아시아는 인구밀도로 인해 재앙 수준에 가까운 피해를 입게 될 것임.


2. 에볼라는 RNA 계열 바이러스라 변종이 심하다.

한 숙주에 바이러스A 와 바이러스 B 가 들어갈 경우 합성이 됨.

아프리카와는 달리 북반구는 곧 환절기임. 환절기에는 사람이 많은 RNA 바이러스에 노출됨.

여기 에볼라가 섞이게 되면 높은 치사율과 빠른 전파율을 가질 가능성이 매우 큼.
보건소 같은 곳이나 뉴스에서 RNA RNA 하는 이유와 조류독감, 신종플루를 뉴스에 내보냈던 이유도 이들이 변종, 합성이 되기 쉬운 이유임.


-한국이 할 수 있는방법

한국은 인구밀도가 높고 방역, 검역, 재난대응 시스템과 체계, 한국인의 재난대비 수준은 매우 떨어지며

많은 수의 환자를 격리, 치료할 능력과 국민들에게 배포갈 백신을 확보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일단 예방을 최우선 해야함.

현재 미국, 유럽, UN, WHO 가 협력하고 있는 시점에 협조를 해야 할 필요가 있음.

국가에서 해야 할 일은 일단 당분간 외교적인 마찰이 있더라도 국제적인 행사, 임국시 에볼라 위험지역 인원은 통제를 해야함.

국민들은 절대로 에볼라 위험지역을 가지 말것 .

스펙을 위한 외부 봉사/선교활동이 증가했는데 당분간 중지할것.

-만약 에볼라 환자 발생시

도시의 교통, 공공시설의 사용을 못하도록 차단해야 하고 원거리 업무를 할수 있게 하고 제한된 인원만이 행동을 해야함.

재택근부가 불가능한 업종의 경우 따로 독립된 교통시설을 이용하게 해야함.

인터넷이 도움 될 것임.

그렇게 되면 많은 서비스업은 엄청난 타격을 입게 될 것임.

반대로 인터넷서비스, 가공식품, 개인용품, 위생용품 관련 매출이 상당히 올라갈 것임.

물론 전체적으로 봤을때 엄청난 경제적 피해가 생길 것이지만 라이베리아의 경우 이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그나마 전파 속도를 늦추고 있는 중임.

국민들은민방위 행동강령을 따를것.

만약을 대비해서 3달이상 버틸 수 있는 비상식량, 물, 보온용품을 확보할것.

외부와 차단을 대비한 생활용품을 준비하고 일구밀도가 높은 지역은 접근하지 말것.

백신이 확보되기 전까지는 항상 위생상태와 건강에 주의할것.


외교적, 경제적, 국민과의 신뢰도 등 상당한 부분에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지만

이런 방법으로라도 백신을 확보할때까지에볼라를 막을 수 있는 그나마 현실적인 방법임.

많은 외국인이 왕래하고 인구밀도도 높기 때문에 인류를 위해서라도 결단을 내려야 함.


하지만 한국 정부와 국민들은 그정도 피해를 입으면서까지 과감한 결단은 못내릴것으로 예상되고 에볼라 발생시 상당한 인명피해가 예상됨.

 

 

 

출처 : http://www.instiz.net/bbs/list.php?id=ossac&no=15328&pag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