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자가 최대 100이상 나온걸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반정부 시위전 과 후의 키에프광장
우크라이나는 유전지대를 비롯해 철광석등 천연자원이 많고 농사가 잘되서 유럽의 곡창지대로 2차세계대전때 독일이
식량을 얻기 위해 침공했던 지역으로 유명합니다.
러시아인이 전체의 22%에 달하며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전체의 50%나 됩니다.
전체 인구는 4500만명에 국토는 603,550㎢로 대한민국의 6배에 해당하는 거대한 토지를 자랑합니다.
그러나 러시아에 경제적으로 많이 의존하고 있고 외채도 1200억이 넘는지라
국내외적으로 문제가 많이 있는 국가입니다.
이번 반정부 시위의 경우도 EU에 가입한 다른 동유럽국가들에 비해 저성장에 7%의 실업률등
국내정세가 많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친러정부가 EU가입대신 친러시아 정책을 꺼내들면서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불가리아
.GDP 성장률:2.2% .1인당GDP:7.530달러 .인구:720만명
크로아티아
.GDP 성장률:0.9% .1인당 GDP:1만3.870달러 .인구:430만명
헝가리
.GDP 성장률:1.7% .1인당 GDP:1만3.000달러 .인구900만명
라트비아
.GDP 성장률:4.4% .1인당 GDP:1만5.5520달러 .인구:200만명
리투아니아
.GDP 성장률:3.0% .1인당 GDP:1만5.410달러 .인구:300만명
슬로바키아
.GDP 성장률:2.3% .1인당 GDP:1만8.090달러 .인구:540만명
슬로베니아
.GDP 성장률:-0.8% .1인당 GDP:2만1.000달러 .인구:210만명
체코공화국
.GDP 성장률:1.3% 1인당 GDP:1만9.300달러 인구:1.050만명
폴란드
.GDP 성장률:2.3% .1인당 GDP:1만3.640달러 .인구:3.850만명
우크라이나 .GDP 성장률:3.2% .1인당 GDP:4.160달러 .인구:4.490만명
출처 : http://01051184115.co.kr/xe/blog/textyle/3751
다른 동유럽 국가들은 EU에 가입하고 아니면 서유럽기업들과 활발하게 교류하면서 지속적인 성장과 GDP를
끌어올린 반면에 한때 유럽의 곡창지대라 불리며 냉전시절 소련의 우주기술 중심지로 명성을 떨쳤으나
지금은 비교도 못하게 가난하던 폴란드나 불가리아나 발트3국등 찌끄래기들에게 까지
추월당하고 예전부터 감정이 안좋았던 러시아에게 붙었으니 국민들의 불만은 폭발하게 됩니다.
(우크라이나는 스탈린 정권당시 불만을 표출하다 홀로도모르(Holodomor)라는 가혹한 식량정책으로
우크라이나 국민 1000만명이 굶어죽는 사태가 벌어집니다.
그래서 우크라이나 시민들은 러시아라면 이를 갈게 되었다고 합니다.우리네 일본감정과 비슷한 감정이라 보시면 됩니다.)
현재 우크라이나 상황은 지속적인 시위와 불안한 정치로 디폴트(채무상환 불이행)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국채는 이미 세계금융시장에서 쓰레기 취급을 받고 있습니다.
무디스는 최근 우크라이나의 신용등급을 B3’에서 ‘Caa1’으로 강등했고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도 지난 10월 우크라이나 신용등급을 ‘B’에서 ‘B-’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피치 역시 최근 우크라이나의 등급을 ‘B’로 강등했습니다.
빅토르 야누코비치 정부가 지난 11월 21일 EU와의 경제협력 협상 중단을 선언한 후,
경제는 갈수록 추락하고 그에 따라 시위가 장기화되고 야권이 지속적으로 비판을 가하자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결국 2일 EU와의 경협 협상 재추진 쪽으로 방향을 튼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EU역시 환영하는 눈치입니다.
결국 이 우크라이나 사태는 독일과 러시아의 힘겨루기에 우크라이나만 희생당한 안타까운 상황이 아닐수 없습니다.
그리고 우크라이나 여성드은 국내의 어려운 사정때문에 국제결혼을 선호한다고 하니
김태희가 밭을 갈고 송혜교가 채소를 판다는 우크라이나에 관심을 가져 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거 같습니다.
저도 돈벌면 가볼려구요
'세계적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스하키 미국VS캐나다 저스틴 비버 더비 결과 (0) | 2014.02.23 |
---|---|
[뉴스2] 소치올림픽 선수촌에 돌아다니는 늑대 (0) | 2014.02.21 |
일본인구 급감중 ㅎㄷㄷㄷㄷㄷ.jpg (0) | 2014.02.19 |
현재 일본 해외 핫토픽 1위 기사, 美 "일본은 한국에게서 배워라" 반응 (0) | 2014.02.17 |
브라질의 흔한 사기수법.jpg (0) | 2014.02.14 |